랩트 이더(WETH)는 이더리움(ETH)을 ERC-20 토큰처럼 쓸 수 있도록 만든 것입니다. 랩트 이더는 디파이 생태계에서 유동성 공급, 담보 대출, 토큰 스왑 등에 주로 사용되는데요.
유니스왑이나 메타마스크, OKX 월렛 또는 바이낸스와 같은 거래소를 통해 간편하게 이더리움을 래핑 및 언래핑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랩트 이더란 무엇이며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랩트 이더(WETH)란 무엇인가요?
이더(ETH)는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기본 통화'입니다. 하지만 ETH는 ERC-20 토큰 표준을 따르지 않는 고유한 네이티브 코인인데요.
문제는 대부분의 디파이 서비스들은 ERC-20 표준 기반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ETH 자체는 스마트 컨트랙트나 특정 디앱에 바로 사용하기 어렵다는 것입니다.
디파이 앱 대부분은 ERC-20 토큰만 지원하기 때문에, ETH를 유동성 풀에 넣거나, 담보로 사용하거나, 스마트 컨트랙트에 연동하려면 ERC-20 표준에 맞게 바꿔야 합니다.
그래서 등장한 게 바로 랩트 이더(Wrapped Ether) 즉, WETH입니다. WETH는 말 그대로 ETH를 ERC-20 형식으로 감싼 토큰인데요. 이렇게 이더리움을 래핑하면 이제 ERC-20 토큰 표준 형식을 따르게 되므로, 다양한 디파이에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 ETH: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기본 자산
- ERC-20 토큰: 스마트 컨트랙트와 디앱들이 사용하기 위해 만든 표준 자산
정리하자면, 랩트 이더는 ERC-20 버전의 이더로 다양한 디앱에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한편, 1 ETH 및 1 WETH의 교환 비율은 1:1을 유지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WETH는 어떻게 작동하나요?
WETH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생성되는데요. 구체적인 작동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특정 스마트 컨트랙트로 ETH를 전송
- 컨트랙트는 동일한 수량의 WETH를 발행해서 사용자 지갑에 지급
- 사용자가 WETH를 다시 ETH로 바꾸면(언래핑), WETH는 소각되고 ETH가 반환됨
이 모든 과정에서 ETH:WETH의 교환 비율은 1:1 비율로 고정돼 있습니다. 즉, 별도의 환율 차이나 스프레드는 없이 래핑 및 언래핑이 가능한 것이죠. (소정의 네트워크 가스비 필요)
WETH 및 ETH 전환 방법은?
ETH에서 WETH로 전환하는 과정을 래핑(wrapping)이라고 하며, WETH에서 ETH로 변환하는 과정을 언래핑(unwrapping)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이더리움을 래핑 및 언래핑하는 과정은 어떻게 진행할 수 있을까요? 가장 일반적이면서도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유니스왑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1) 유니스왑 접속
유니스왑 공식 홈페이지에 접속 후, 지갑을 연결하고 이더리움 메인넷을 선택해주세요.
(2) 래핑하기
아래와 같이 상단에는 ETH, 하단에는 WETH 선택하면, ETH를 래핑할 수 있습니다. 바꾸고 싶은 ETH 수량을 입력하고 'Wrap'을 클릭하세요.
(3) 트랜잭션 승인 및 완료
지갑에서 트랜잭션을 확인하세요. 모든 정보가 정확하다면 승인을 진행합니다. 이후 블록체인에서 처리가 완료되면, WETH가 래핑되어 지갑에 입금됩니다.
언래핑의 경우, 위의 과정을 반대로 진행해주시면 됩니다. 즉, WETH를 ETH를 'Unwrap'하면 됩니다. 트랜잭션을 승인하면 블록체인 컨펌 이후, ETH가 지갑에 도착합니다.
다른 블록체인에서도 WETH를 사용할 수 있나요?
네. BNB 체인, 아발란체, 베이스 등 다양한 체인에서도 WETH와 비슷한 형태의 래핑 이더리움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런 자산들은 보통 브리지 서비스를 통해 생성되는데요.
브리지는 특정 블록체인에서 자산을 맡고, 그에 상응하는 래핑 토큰을 다른 블록체인에 발행해주는 서비스입니다. 예를 들어, 이더리움에서 ETH를 넘기고, BNB 체인에서 WETH를 받는 식입니다.
단, 브리지는 보안 이슈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신뢰할 수 있는 플랫폼인지 꼭 확인하는 게 좋습니다. 잘 알려진 브리지로는 웜홀, 스타게이트, 레이어제로 등이 있습니다.
브리지 사용이 걱정된다면 이더리움을 바이낸스나 바이비트, OKX 등의 거래소 입금한 다음 특정 네트워크로 다시 출금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별도의 래핑 없이도 래핑된 ETH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WETH는 어디에 사용하나요?
래핑된 이더는 유니스왑, 베라체인, 커널다오 등 다양한 디파이 플랫폼에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 해당 플랫폼의 유동성 풀에 WETH를 공급하거나, 볼트에 예치 또는 렌딩을 통해 추가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에이브나 컴파운드 등에 WETH를 예치하고 이를 담보로 자산을 대출할 수도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1인치나 팬케이크스왑, 오픈시 등 다양한 마켓에서 WETH로 토큰을 스왑 또는 NFT 등을 구매할 수도 있습니다.
마치며
이더리움 기반 생태계는 스마트 컨트랙트와 디앱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더리움 고유의 토큰인 ETH는 ERC-20 표준을 따르지 않기 때문에, 다양한 디파이 프로토콜에서 직접적으로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WETH는 이러한 제약을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대표적인 ‘브리지’ 역할을 하는 자산입니다. ETH를 래핑하면 동일한 가치를 지닌 WETH를 ERC-20 토큰 표준으로 전환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유동성 공급, 담보 대출, NFT 거래 등 디파이의 핵심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아카데미 > 🧐 크립토 블록체인 101'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타마스크 현금화하는 방법 (디파이 스왑 및 업비트, 빗썸, 바이낸스 입출금) (0) | 2025.05.25 |
---|---|
이더리움 펙트라(Pectra) 업그레이드란 무엇이며 주목해야 하는 이유는? (0) | 2025.05.12 |
코인 다단계와 폰지 사기... "예방 및 신고"하는 방법 (f. 업비트 거래소) (0) | 2025.03.28 |
양자컴퓨터 비트코인 해킹? 진짜일까? (0) | 2024.12.31 |
메타마스크 해킹 예방하는 방법: 개인 지갑 온체인 스캠 사례 정리 (0) | 2024.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