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마스크는 다양한 코인을 보관, 관리, 교환할 수 있는 인기 개인 지갑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원화로 바로 현금화는 안 되기 때문에, 보유하고 있는 코인을 유니스왑에서 스왑하거나 국내외 거래소로 전송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메타마스크에 보유하고 있는 코인을 안전하게 출금하여 현금화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튜토리얼 따라하시면 업비트, 빗썸, 바이낸스 등 사용하시는 모든 거래소에 코인을 입금하고 판매할 수 있습니다.
메타마스크에서 바로 현금화가 가능한가요?
아니요. 메타마스크에서 직접적인 현금화는 불가능합니다. 메타마스크는 블록체인 '지갑'이기 때문에 국내 은행 계좌처럼 직접 돈을 출금하는 기능은 없습니다.
따라서, 메타마스크에 있는 코인을 현금화하려면 이를 거래소로 전송하여 매도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국내외 거래소로 코인을 전송하여 현금화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비상장 코인을 현금화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경우에는 유니스왑이나 1인치와 같은 탈중앙 거래소(DEX)에서 해당 코인을 UDST 등의 스테이블코인으로 스왑해야 합니다.
현금화 전 반드시 알아야 할 3가지
메타마스크에 있는 코인을 현금화하기 전에 알아야 할 중요한 사항이 있습니다. 이를 잘 숙지하지 않을 경우, 소중한 자산을 모두 잃을 수 있기 때문에 꼭 주의해야 합니다.
먼저, 수수료입니다. 메타마스크 자체 수수료는 없지만, 블록체인 네트워크 사용 시 가스비가 발생합니다. 가스비는 코인을 전송하거나 서명할 때 필요한 것으로 네트워크 수수료라고도 합니다.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경우에는 ETH 수수료가 필요하며, 솔라나는 SOL이 필요합니다. 바이낸스 체인의 경우 BNB가 필요합니다. 아비트럼이나 베이스 등 이더리움 레이어2 체인의 경우에는 해당하는 체인의 ETH가 가스비로 사용됩니다.
두 번째로 지갑 주소를 확인해야 합니다. 지갑 주소란 은행의 계좌번호와 같은 것으로 반드시 정확하게 입력해야 합니다. 이를 잘못 입력할 경우, 자산이 유실되어 찾을 수 없습니다.
마지막으로 거래소의 코인 지원 여부입니다. 코인이 상장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어떠한 네트워크를 지원하는지 확인하세요. 만약, 코인이 상장되지 않은 경우 거래소로 입금하면 안 됩니다.
현금화 준비하기: 메타마스크 지갑 등록
메타마스크에 있는 코인을 현금화하기 전에, 업비트 또는 빗썸과 같은 국내 거래소에 본인의 메타마스크 지갑을 먼저 등록해야 합니다. 등록하지 않고 코인을 보내는 경우 트래블룰에 따라 입금이 처리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메타마스크 지갑을 등록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예를 들어, 업비트의 경우 아래와 같이 내 정보 페이지로 이동한 다음, [개인지갑 주소 관리] 탭으로 이동해주세요.
여기에서 [관리하기] 버튼을 클릭 후, 본인의 메타마스크 지갑 주소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주소 등록]을 클릭하면 다음과 같이 메타마스크 인증 팝업창이 표시됩니다. 메타마스크 인증에 서명을 완료하면 지갑 주소 등록이 완료됩니다.
메타마스크에서 업비트로 출금하는 방법
이제 코인 전송을 위한 기본적인 사항 점검 및 지갑 등록까지 마쳤으니 본격적으로 현금화를 진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단계: 네트워크 선택 및 전송 시작
메타마스크를 열면 보유 중인 자산이 보입니다. 왼쪽 위에서 원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선택한 다음, [Send] 버튼을 눌러 전송을 시작하세요.
이 때, 반드시 정확한 네트워크에서 작업하고 있는지 확인하세요.만약, 메타마스크에서 처음으로 출금을 시도하는 것이라면, 반드시 소액으로 전송 테스트를 해보세요.
2단계: 입금 주소 및 코인 선택
업비트에서 복사한 입금 주소를 메타마스크의 전송 주소란에 입력하세요. 'To' 아래부분에 해당하는 입금 주소를 정확하게 붙여넣으세요.
다음으로 출금할 코인을 선택하고, 수량을 입력하세요. 예를 들어, 다음 예시는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 0.001 ETH를 전송하는 모습입니다.
출금 승인 전, 입력한 주소가 정확한지 다시 한 번 확인하세요. 또한, 현재 사용 중인 네트워크가 정확한지 다시 한 번 확인하세요. 모든 것이 정확하다면 [Continue]를 눌러 계속하세요.
3단계: 트랜잭션 검토 및 승인
방금 전 입력한 내용을 바탕으로 최종 검토 화면이 표시됩니다. 전송 금액, 주소, 네트워크, 수수료를 모두 꼼꼼하게 확인해보세요. 실수하면 되돌릴 수 없습니다.
모든 것이 정확하다면 [Confirm] 버튼을 눌러 트랜잭션을 승인하세요. 메타마스크에서 코인을 전송한 후 약 5분에서 20분 정도 시간이 지나면 업비트에 코인 입금이 완료됩니다.
4단계: 입금 완료 및 현금화
업비트에 코인이 입금되면 이제 원화 또는 BTC/USDT 마켓에서 해당 코인을 매도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메타마스크에서 출금한 코인을 현금화하는 과정이 모두 완료됩니다.
상장되지 않은 코인을 현금화하는 방법은?
만약, 메타마스크에 보관 중인 비상장 코인이 있나요? 여기서는 조금 다른 방법으로 현금화를 할 수 있습니다. 먼저, 유니스왑 공식 홈페이지로 접속해주세요.
다음으로 [Connect]를 눌러 메타마스크 지갑을 연결해주세요. 아래와 같이 [Trade] 섹션으로 접근한 다음, [Sell] 부분에 판매를 원하는 코인의 이름 또는 컨트랙트 주소를 입력하세요. [Buy]에는 USDT 또는 현금화를 원하는 스테이블코인을 선택해주세요.
지갑 서명 후 스왑이 완료됩니다. 이제, 스왑한 USDT를 거래소로 전송하여 매도하면 됩니다. 이렇게 하면, 거래소에 정식으로 상장되지 않은 비상장 코인을 현금화할 수 있습니다.
해당하는 코인의 정확한 이름과 컨트랙트는 코인마켓캡 및 프로젝트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이 때, 잘못된 컨트랙트가 아닌지, 이름이 같지만 다른 코인이 아닌지 확인하세요. 또한 스왑 전 유동성이 충분한지 반드시 확인하세요.
마치며
메타마스크는 다양한 코인을 보관하고 전송할 수 있는 개인 지갑입니다. 직접적으로 현금화 기능은 없지만 국내외 거래소를 잘 활용하면 어렵지 않게 자산을 현금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이 때, 중요한 건 거래소로 입금 전 지원되는 코인 종류와 네트워크를 정확하게 하는 것입니다. 큰 금액을 전송하는 경우거나 블록체인을 통한 자산 전송이 익숙하지 않다면, 반드시 소액으로 전송 테스트를 진행해보시기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업비트나 빗썸 등에 상장되지 않은 비상장 코인의 경우 DEX를 이용하거나 바이낸스, 바이비트, 비트겟, OKX 등의 해외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해외 거래소는 국내 거래소에 비해 더 많은 코인을 지원하고 있어 간편하게 현금화가 가능한 경우가 많습니다.
'🧑🌾 아카데미 > 🧐 크립토 블록체인 101' 카테고리의 다른 글
랩트 이더(WETH)란 무엇이며 어떻게 사용하나요? (0) | 2025.05.13 |
---|---|
이더리움 펙트라(Pectra) 업그레이드란 무엇이며 주목해야 하는 이유는? (0) | 2025.05.12 |
코인 다단계와 폰지 사기... "예방 및 신고"하는 방법 (f. 업비트 거래소) (0) | 2025.03.28 |
양자컴퓨터 비트코인 해킹? 진짜일까? (0) | 2024.12.31 |
메타마스크 해킹 예방하는 방법: 개인 지갑 온체인 스캠 사례 정리 (0) | 2024.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