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랜서라면 금융소득이 1년에 1,000만원을 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는 걸 알고 계셨나요? 직장가입자인 회사원들과 달리 지역가입자인 프리랜서는 금융 소득 과세 기준이 달라 천만원을 넘는 순간부터 건보료가 인상되기 때문인데요.
그러나 천만원은 금융 자산을 운용하다보면 가뿐히 넘기게될 수 있는 금액이죠. 따라서 프리랜서로서 건보료를 적게 내려면 적절한 전략과 대책이 필요합니다. 프리랜서 건보료 폭탄을 맞지 않는 방법, 같이 한 번 알아볼까요?
프리랜서세요? 건보료 주의 사항
앞서 살펴본 것처럼 프리랜서 건보료 납부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연간 금융소득이 1,000만 원을 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합니다. 금융 소득이 1원이라도 천만원을 초과하는 순간 건보료가 가파르게 증가하기 때문인데요.
따라서 펀드나 ETF 투자 등에서 수익을 실현하기 전 세금을 고려하여 매도 및 배당금 수령 계획을 잘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직장인과의 차이점 이해
프리랜서와 직장인은 금융소득 기준이 다릅니다. 직장인은 2,000만 원을 초과하는 금액에만 건강보험료가 부과되지만 프리랜서는 1,000만 원이 기준이라는 점에 주의해야 합니다.
이것이 바로 프리랜서, 개인사업자, 은퇴자 등 지역가입자들이 금융소득에 민감한 이유 중 하나죠. 자세한 건보료 산정 기준은 아래의 글을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
건강보험 및 국민연금 산정 기준과 덜 내는 방법
TLDR; 건강보험과 국민연금은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로 나뉩니다. 직장가입자는 월급을 기준으로, 지역가입자는 소득과 재산을 고려하여 보험료를 부담합니다. 퇴사 후 보험료 부담이 커지면,
bitpunk.one
절세 계좌를 통해 투자: IRP, ISA, 연금저축계좌
건강보험료를 줄이려면 금융소득으로 잡히지 않는 상품 계좌를 사용하여 투자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IRP 계좌를 통해 펀드와 ETF에 투자하면 매매차익과 배당수익이 건강보험료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고 계셨나요?
뿐만 아니라 ISA와 연금저축계좌도 비과세 혜택을 제공하기 때문에 적절한 운용 전략이 필요한데요.
ISA와 연금저축계좌를 활용하면 비과세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ISA로 예금과 적금, ETF 등을 운용하고, 만기 후 돈을 연금저축계좌로 이전하여 펀드와 ETF에 투자하면 세금을 크게 줄이거나 전혀 내지 않을 수 있습니다.
ISA는 최대 200만원 비과세 및 분리과세 혜택을 제공하는 투자 계좌로 예금, 펀드, ETF, 주식 등 다양한 금융 상품에 투자할 수 있는 계좌입니다. 만기는 최소 3년이며, 이후에는 연금 저축 계좌로 이전하여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연 납입 한도는 2천만원이며, 만기 이전에도 필요할 때 돈을 꺼내 사용할 수 있습니다. 프리랜서라면 ISA 계좌는 꼭 만들어 잘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ISA 만기 후에는 이를 연금저축계좌로 이전하여 계속 투자할 수 있습니다. 이때, 해당 자금을 연금으로 수령하게 되면 수익 및 배당에 대한 아주 낮은 소득세(3~6%)만 지불하면 됩니다. 다만, 연금 계좌이기 때문에 장기간 자금이 묶이게 될 수는 있겠죠?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똑똑한 연금 투자 방법' 포스팅에서 알아보실 수 있습니다.
똑똑한 연금 투자 방법: ISA 계좌로 세금 절약하기! 📈
TLDR;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란? 19세 이상 국내 거주자라면 소득과 무관하게 가입 가능한 금융상품입니다. ISA 계좌는 세액공제와 비과세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ISA 의무가입기간 만료 시 5
bitpunk.one
건보료 관련 뉴스 챙겨보기
마지막으로 프리랜서로서 건보료 폭탄을 맞지 않으려면 건보료 관련 뉴스를 계속 챙겨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앞서 말씀드렸듯, 건보료 제도는 계속해서 변하고 있습니다.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지역가입자의 금융 소득 기준이 2천만원이었지만, 이제는 1천만원으로 변경되었죠. 이러한 사실을 모르고 계속해서 2천만원의 금융 소득을 유지하는 프리랜서라면 새로운 건보료 산정 때 날벼락을 맞는 것과 다름 없을 것입니다.
따라서 프리랜서로서 생활하시며 계속해서 건보료 폭탄을 맞지 않고 세금을 줄이고자 하신다면 변화하는 건보료 제도에 관련한 뉴스를 잘 챙겨보고 이에 맞춰 적절한 대응을 마련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아카데미 > 🏹 유용한 정보 및 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외 출국 시 건강보험료 환급 및 납부 중지 방법 (0) | 2023.09.16 |
---|---|
똑똑한 연금 투자: ISA 계좌로 세금 절약하고 연금 계좌로 이전하는 방법 📈 (0) | 2023.09.11 |
건강보험 및 국민연금 산정 기준과 덜 내는 방법 (0) | 2023.09.08 |
해외 출국 시 실손 보험료 환급 신청 방법 (0) | 2023.09.06 |
워뇨띠 근황 및 매매법 총 정리 (6백만원 -> 3,000억) (0) | 2023.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