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글에서는 비트코인 선물과 같은 트레이딩 시 위험 관리 전략의 뜻과 더불어 핵심 원칙인 5% 규칙에 대해 알아볼 것입니다. 또한, 위험 관리 전략의 중요성과 더불어 5% 규칙을 바탕으로 레버리지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볼 것입니다.
트레이딩에서 중요한 것은 돈을 잃지 않는 것입니다. 생각해보세요. 잃지 않으면 벌 수 있습니다. 전설적인 투자자 워런 버핏도 그런 말을 했죠. 1원칙은 돈을 잃지 않는 것이며 2원칙은 그 원칙을 고수하는 것이라고요.
그런데 통계에 따르면 트레이더의 90%가 돈을 잃습니다. 돈을 벌러 왔다가 돈을 잃고 가는 아이러니. 아니 참담한 현실은 바로 위험 관리를 제대로 하지 못했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위험 관리란?
위험 관리란 말 그대로 트레이딩에 사용하는 자금의 위험을 관리하는 것입니다. 주식이나 코인을 해보신 분이라면 잘 알고 계실 분할 매수 또한 대표적인 위험 관리에 해당합니다. 물론 이를 전략적으로 시행하는 분은 많지 않지만 말입니다.
위험 관리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방식은 바로 한 번의 거래에서 자금의 5% 이상을 잃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현물 거래에서는 5% 이상의 손실이 발생하면 손절을 치는 것이 될 수 있겠고, 선물 거래에서는 스탑 로스 배치와 더불어 포지션 사이즈 결정, 레버리지 사용 등의 조금 복잡한 관리 전략을 마련해야 합니다.
비트코인 선물 거래와 현물 거래의 차이점
이번 글에서는 비트코인과 같은 암호화폐 선물 및 현물 거래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는 일반적인 선물 및 현물 거래와 유사하지만 암호화폐 거래에는 몇 가지 차이점이
bitpunk.one
현물은 쉽게 이해하실테니 선물 거래를 중심으로 이야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선물 거래 위험 관리 전략
선물 거래 위험 관리에도 5% 규칙이 제1 원칙으로 적용됩니다. 이는 어떤 일이 일어나도 한 번의 거래로 자금의 5% 이상을 잃지 않아야 한다는 말입니다.
이를 바탕으로 레버리지와 포지션 규모를 정해볼 수 있습니다. 총 자금이 10만 달러이고 5%의 위험을 감수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레버리지와 자금은 다음과 같습니다.
- 총 자금: $100,000
- 위험 감수 비율: 5%
- 위험 감수 자금: $100,000 * 0.05 = $5,000
- 레버리지: $100,000 / $5,000 = 20
- 최종 포지션 규모: $100,000
위 수식을 이해한다면 5% 규칙을 따라 정확한 레버리지를 설정하고 최종 포지션 규모를 설정한 것이 됩니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10만 달러의 5%에 해당하는 금액은 $5,000이며 따라서 이 금액이 손실이 될 수 있는 최종 금액입니다. 레버리지는 최종 포지션 규모인 $100,000를 위험 감수 자금인 $5,000으로 나눈 값인 20배가 됩니다.
위험 관리의 중요성
위와 같이 복잡한 위험 관리를 하는 이유는 위험 관리를 하지 않으면 99.9% 확률로 청산을 당해 파산하기 때문입니다. 수익 확률이 70%에 가까운 탑 트레이더가 있다 하더라도 한 번의 거래에서 40%씩 손해를 본다면 6번 연속 손해를 보면 파산하고 맙니다. 놀라운 사실이 있다면 대부분의 성공적인 트레이더의 승률은 40% 정도에 불과하다는 것입니다.
승률이 낮지만 오래 살아남을 수 있는 비유는 바로 위험과 보상 비율을 제대로 확보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한 번의 거래에서 잃게 되는 돈(위험)과 수익(보상) 비율을 관리하는 것입니다.
하루 만에 39억 청산 당한 고란 기자 (상황 정리 및 남은 시드)
고란 기자님께서 이번 비트 떡락으로 인해 39억을 청산당하셨다고 합니다. 저랑 비슷한 시기에 암호화폐 시장에 들어오셨고, 사기꾼들이 판치던 시장에서 그나마 균형잡힌 시각을 견지하시던
bitpunk.one
마치며
이상을 정리하자면 한 번의 거래에서 5% 이상을 잃을 위험을 감수하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위험 관리 전략은 여기에서 출발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레버리지와 스탑 로스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돈을 잃지 않는 것이고 5% 규칙에 따라 최종 포지션을 운영하는 것임을 잊지 마세요.
'🧑🌾 아카데미 > ⚔️ 트레이딩의 모든 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기한 선물과 일반 선물 계약의 차이점 (0) | 2022.09.19 |
---|---|
비트코인 선물 거래 개념 이해 (vs. 전통 선물 거래와 차이점) (0) | 2022.09.19 |
비트코인 선물과 현물 거래의 차이점 (0) | 2022.09.15 |
코인 마진 COIN-M 선물 거래란 무엇일까요? (0) | 2022.07.13 |
슈카가 말하는 기술적 분석과 기영이 매매법 정리 (0) | 2021.10.24 |